본문 바로가기
300x250

비만2

비만 질환의 합병증과 치료법 비만의 질환의 합병증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 질환, 고지혈증과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의 주범일 뿐만 아니라 지방간 및 담석증, 생리불순, 불임, 관절염, 각종 암의 발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비만은 단지 외모만의 문제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할 하나의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1. 각종 성인병 1) 성인병의 원인 : 인슐린 저항성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이 심하게 되면 지방세포에서 유리 지방산이란 물질이 과다하게 분비되게 됩니다. 이러한 유리 지방산의 과다 분비는 체내 영양소 대사에 매우 중요한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란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렇게 인슐린 작용이 저하되는 것을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게 되면 당뇨병, 고지혈증(콜레스테.. 2022. 10. 11.
비만 진단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비만의 진단 및 평가 1. 비만의 진단기준의 배경과 아시아에서의 기준 Ob gene(비만 유전자)을 발견한 이후로 비만은 단순한 신체 현상이 아닌 유전적인 배경을 갖는 질환이 되었다. 1996년 이후 미국에서 dexfenfluramine이 비만 치료제로 인증을 받으면서, 미국 비만 협회에서 비만의 치료지침이 필요하다고 인식되었고, 비만의 치료 기준이 처음으로 설정되었다. 이어서 같은 해 1996년 영국, 프랑스, 스코틀랜드에서 비만 치료지침을 만들고, 1997년에는 미국 NIH에서, 그리고 1998년에는 WHO에 의해 비만 치료지침이 제정되어 발표되었다. 한편, 홍콩, 일본, 말레이시아, 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에서는 서구인과 체형이 다르므로 이와는 다른 기준이 필요하다고 보고 아.. 2022. 10. 6.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