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딸꾹질 정의와 기전
과음 후 혹은 음식을 성급하게 먹은 후, 갑자기 찬물에 들어갔을 때, 딸꾹질이 나와 괴로움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정의
딸꾹질이란 횡격막의 불수의적 운동에 의해 성문이 갑자기 닫히면서 특징적인 소리가 들리는 것을 말하는데 갑자기 음식을 먹거나, 수술 후, 뇌막염 등에 의해서 흔하게 유발된다. 딸꾹질은 대개 수분 이내에 저절로 멈추지만, 자주 재발되거나 딸꾹질이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딸꾹질은 여자보다 남자에게 흔하다고 하며 심한 경우 진정제 투여가 도움이 된다.
기전
딸꾹질의 기전을 보면 1) 갑자기 음식을 많이 먹거나 술을 많이 먹은 후 위가 확장되어 횡격막이 자극되면서 횡격막 신경이 자극받게 되어 성문이 갑자기 닫히게 되고 호흡근육의 갑작스러운 수축에 의하여 유발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 하나의 기전은 2) 인두, 귀, 가슴과 배에 분포되어있는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유발되는 경우가 있고 3) 여러 신경과 딸꾹질 중추가 모여 반사궁이라는 신경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신경체계의 억제가 딸꾹질을 유발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딸꾹질은 대부분 양성 질환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딸꾹질이 오래가는 경우 심각한 질환의 불길한 징후일 수 있으며 자주 재발되는 경우, 딸꾹질이 호흡을 방해할 정도로 심한 경우 등에 있어서는 즉시 의사를 찾도록 한다.
딸꾹질의 원인
1) 위의 확장(음식, 물을 갑자기 먹거나, 공기를 마신 경우), 식도 열공, 간이나 비장(지라)이 붓거나 횡격막 농양 등에 의한 횡격막 신경의 자극.
2) 인두염, 귀의 이물질, 식도염, 폐렴, 늑막염, 대동맥류, 가슴에 생긴 종양(chest tumors), 심근경색, 복부팽만, 위궤양, 복부 농양, 담낭 질환, 암 등에 의한 미주신경의 자극
3) 술, 약물, 요산증, 당뇨, 전해질 이상에 의한 대사 이상인 경우
4) 감정 변화(운동, 스트레스, 갑자기 웃음)
5) 심지어는 뇌의 암, 뇌염, 뇌막염, 뇌 수술 후나 뇌의 충격, 딸꾹질 유발 중추의 기형 등의 경우도 종종 있다.
딸꾹질이 며칠간 가는 경우
1) 신경학적 검사
2) 혈액검사, 전해질 검사, 간 기능 검사, 가슴사진
3) 필요하다면 전산화 단층 촬영, 심전도, 위장관 내시경, 기관지경 등이 필요하며.
4) 뇌의 이상이나 정신적 원인을 체크하여야 한다.
딸꾹질이 오래가면 오는 합병증으로는
1) 탈진
2) 체중감소
3) 호흡성 알칼리증이 있다.
멈추게 하는 치료와 방법
1) 비인두를 카테터로 자극하거나 숟가락으로 목젖을 밀어젖히거나 설탕이나 레몬 조각을 삼키는 방법이 있고
2) 발살바 법이나 재채기를 유도하거나, 숨을 멈추고 다시 숨을 쉬게 하는 등의 방법이 있으며
3) 눈 위를 누르거나 경동맥을 마사지하는 방법
4) 귀를 마사지하고 외이도를 자극하거나
5) 위장관 라베지 튜브를 삽입하거나
6) 다리에 가슴을 꽉 껴안아 횡격막에 자극을 주던지 필요에 따라서는 기관삽관을 하여 기계호흡으로 양압을 주는 방법도 있다.
7) 리도카인 등의 국소 주사요법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8) 약물요법으로는 chrorpromazine(thorazine), haloperidol, metochropramide, baclofen, nifedipine 등 여러 약이 원인이 밝혀진 후에 사용될 수 있다.
chrorpromazine이라는 약은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만성적인 딸꾹질을 치료하는 약인데 저혈압이나 졸림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딸꾹질이 생겼을 때 찬물로 세수를 한다던가 혀를 잡아 다닌다던가 숨을 멈춘다던가 귀를 간지럽힌다던가 하는 등의 민간요법이 있으며 매우 효과적이다. 민간요법으로 잘 해결되지 않는 경우 임으로 약을 쓰지 말고 병원을 찾아 딸꾹질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하도록 한다.
좋은 정보는 여기!
믿을만한 의학정보
'믿을만한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알고 마셔야 하는 이유 (5) | 2022.10.08 |
---|---|
괄약근에 대한 이해와 위험 (2) | 2022.10.08 |
아기가 설사하는 이유와 종류 구분 (5) | 2022.10.07 |
유방암의 진단과 검사는 어떻해 할까? (2) | 2022.10.07 |
간디스토마의 감염 증상과 원인 치료예방법 (4)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