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조류독감 H5N1 바이러스란?
조류독감(Avian influenza 또는 Bird flu)은 닭·오리 및 야생조류 등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조류독감은 100여 년 전부터 나타났으며 이후 전 세계적으로 퍼졌다.
닭, 칠면조 등 가금류뿐 아니라 야생오리와 같은 야생조류에도 감염되며 전파속도도 매우 빠르다. 고병원성은 치사율이 100%에 이를 만큼 전염성과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제1종 법정전염병, 국제수역사무국(OIE)은 A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동안 조류독감은 조류와 돼지 사이에서만 전염된다고 생각했으나 1997년 홍콩에서 조류독감에 감염된 조류와 접촉한 사람들 중 18명이 감염되고 그중 6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사람도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3년에는 홍콩에서 감염자 2명 중 1명이, 네덜란드에서는 83명 중 수의사 1명이 숨졌는데, 홍콩은 H5N1, 네덜란드는 H7 N7 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지난 1999년 홍콩에서 발생한 조류독감에선 H9 N2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조류독감의 바이러스 중 특히 고병원성인 H5N1형 바이러스는 변이가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에게 쉽게 전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감염된 조류가 다른 닭, 사육 오리와 접촉하거나 배설물을 통해 조류독감을 전파하므로
방역이 쉽지 않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감염된 조류를 통해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인간이 조류독감에 감염되면 변종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돌연변이를 일으킨 변종 바이러스는 인간끼리의 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사람 간에 전염되는 변종 바이러스가 나타날 가능성 때문에 전문가들은 조류독감이 잘못하면 세계적인 유행병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사람끼리 전염되는 변종 바이러스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조류독감의 향방에 각별히 주의가 요망되는 이유이다.
조류독감의 인체감염 과정
*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단백질에 따라 H형(H1~H15 15종)과 N형(N1~N9 9종)으로 구분하며 두 가지 단백질의 조합에 의해 총 135종류의 혈청형으로 나뉩니다.
이 중 아시아 지역에 유행하는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혈청형이 'H5 N1'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유전자의 변이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타동 물의 독감 바이러스 유전자와도 잘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감염된 가금류의 분변 속에서 35일 이상 생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에 오염된 분변 1g으로 약 100만 마리의 닭을 감염시킬 수 있을 정도로 치명적입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75도로 5분 이상 또는 80도로 1분 이상 가열하면 모두 죽일 수 있습니다.
증상과 백신
1. 사람 감염은?
A. 사람도 감염됩니다.
조류독감에 감염된 살아있는 조류와 접촉하거나 감염된 조류의 배설물이 말라 가루가 된 것을 흡입하면 조류독감에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류독감 바이러스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중에 사람에게 전염이 잘되는 조류독감에 걸린 조류와 접촉했을 때 잘 감염됩니다.
조류독감에 감염된 사람은 1997년 홍콩에서 처음 확인됐습니다.
1997년 감염자들은 모두 시장이나 농장에서 조류와 가깝게 만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여러 가지 변종 가운데 사람에게 치명적인 것은 H5 N1 변종입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조직이나 배설물, 동물 시체 안에서도 오래 살며, 특히 낮은 온도에서 생존 기간이 길어 겨울철에 유행합니다.
2. 증상은?
A. 일반 독감과 비슷합니다.
높은 열에 목이 아프고 기침을 하며 때로 결막염도 일으킵니다.
3. 백신은?
A. 현재 H5 N1 바이러스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백신은 없습니다.
기존의 치료제로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볼 수도 있으나, 효과적인 H5 N1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데는 6개월 이상이 걸립니다.
감염자가 한꺼번에 많이 발생하면 제때 백신을 공급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4. 사망률은?
A. 1997년 홍콩에서 감염자 18명 중 6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33%로 상당히 높습니다.
2002년 12월에 등장해 세계에서 8400명이 감염돼 800명이 숨진 사스(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의 치사율 9.5%보다 3배 이상으로 높습니다.
5. 전염은?
A. 아직까지 사람이 사람에게 전염시킨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조류독감에 걸리지 않는 최선의 예방책은 조류독감이 퍼진 지역에서는 살아 있는 닭과 오리 같은 가금류와 접촉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6. 조류를 먹는 것은?
A. 독감 바이러스는 호흡기 세포에만 침투할 수 있고 위나 장에는 둥지를 틀지 못합니다.
특히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70도 이상의 온도에서 몇 분 이상 있으면 죽기 때문에 삼계탕이나 닭튀김과 같이 충분히 익힌 고기라면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
좋은 정보는 여기!
'믿을만한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두통 증상과 원인 치료법 (7) | 2022.10.10 |
---|---|
속이 더부룩한 소화불량 진단과 치료 (2) | 2022.10.10 |
유방암 수술의 종류와 방법 (2) | 2022.10.10 |
갑상선 종양의 증상과 치료방법 (3) | 2022.10.09 |
대상포진 관리와 예방수칙 백신접종 (3) | 2022.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