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믿을만한 의학정보

화를 다스리는 호흡법

by 호이짜호이호 2023. 2. 10.
300x250
반응형

화는 모든 불행의 근원이다.
화를 안고 사는 것은 독을 안고 사는 것과 같다.

화는 타인과의 관계를 고통스럽게 하며 인생의 많은 문을 닫게 한다.
따라서 화를 다스릴 때 우리는 미움, 시기, 절망과 같은 감정에서 자유로와 진다.
타인과의 사이에 얽혀있는 모든 매듭을 풀고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우리의 마음은 밭이다.
그 안에는 기쁨과 사랑, 즐거움과 희망과 긍정의 씨앗이 있는가 하면 미움, 절망, 좌절, 시기, 두려움과 같은 부정의 씨앗도 있다.
어떤 씨앗에 물을 주어 꽃을 피울지는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기 위해 태어났다.
그러나 실제로 행복을 만끽하면서 사는 사람은 드물다.

행복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표정에서 알 수 있다.
행복한 사람은 늘 미소 짓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얼굴을 찌푸리며 찡그리고 있다.
화를 다스리기 위해 유용한 도구가 있다.
의식적인 호흡, 의식적으로 걷기, 화를 끌어안기, 나의 내면과 대회하기 등 이러한 도구들을 사용하면
우리는 마음속에 화가 일어날 때마다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다.

우리는 자신이 가진 부정적인 씨앗이 아닌 긍정적인 씨앗에 물을 주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평화의 길이며 행복을 만드는 법칙이다.

화를 다스리는 법

화를 다스리는 호흡법



1. 화가 난 사람을 생각하며 숨을 깊이 들이쉰다.
그 사람의 고통을 눈으로 보면서 숨을 내쉰다.

2. 화로 인해 나와 타인이 입은 상처를 생각하면서 숨을 들이쉰다
행복을 파괴하는 화를 생각하면서 숨을 내쉰다.

3. 내 몸 안의 화의 뿌리를 보면서 숨을 들이쉰다.
내 마음속의 화의 뿌리를 보면서 숨을 내쉰다.

4. 그릇된 판단과 무지에 들어 있는 고통의 뿌리를 보면서 숨을 들이쉰다.
그릇된 판단과 무지에서 미소를 지어주면서 숨을 내쉰다.

5. 화가 난 사람의 고통을 지긋이 바라보면서 숨을 들이쉰다.
화로 고통당하는 사람에게 연민을 느끼면서 숨을 내쉰다.

6. 화가 난 사람의 딱한 처지와 불행을 보면서 숨을 들이쉰다.
그 불행의 원인을 이해하면서 숨을 내쉰다.

7. 화의 불길에 휩싸인 나를 바라보면서 숨을 들이쉰다.
화의 불길에 휩싸인 자신을 연민하면서 숨을 내쉰다.

8. 화는 나를 추하게 만든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숨을 들이쉰다.
내 모습이 추하게 된 것은 순전히 나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으면서 숨을 내쉰다.

9. 화가 났을 때 나는 집에 불을 지르는 것과 같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숨을 들이쉰다.
화를 보살피고 자신에게로 돌아가면서 숨을 내쉰다.

10. 화가 난 사람을 돕는다고 생각하면서 숨을 들이쉰다.
내게는 화가 난 사람을 도울 능력이 있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숨을 내쉰다.



화 안내는 법 10가지


1. 뭐뭐뭐 해야만 한다’는 생각을 버린다
화가 났을 때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야’ ‘그 사람이 나에게 최소한 이렇게 했어야만 해’ 같은
비합리적인 생각을 하고 있진 않은지 점검한다.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란 없고 ‘… 해야만 하는 사람’도 없다. ‘내가 삼촌 뻘인데’
‘내가 그동안 부장님께 어떻게 했는데’ 같은 생각도 자신의 기준일 뿐이다.

2. 극단적인 표현을 삼간다
“저 사람과는 끝이야!” “열받아 미치겠어” 대신 “기분이 좋지 않다”라고 말하자.
표현에 따라 기분도 바뀐다.

3. ‘나 같으면 절대…’라는 가정은 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해 그 사람이 ‘나 같이’ 행동해야 한다는 근거는 없다.
그 사람 입장에선 또 다른 사정이 있을 수 있다.

4. 가끔은 성악설을 믿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인간은 누구나 불완전하다. 사람들이 가끔 부당해 보이는 게 당연하다고 받아들이자.
‘난 이런 거 못 참아’라고 생각해 봤자 스트레스만 커진다.

5. 사람과 행동을 구별한다
특정 행동 비판이 아니라 행위자 자체를 ‘용서할 수 없는 나쁜 사람’으로 규정함으로써
자신의 분노(또는 욕설과 폭력행사)를 정당화하려는 경향을 주의한다.

6. 오늘 낼 화를 내일로 미룬다
흥분상태에선 실수를 하기 쉽다. 당장 화내고 싶어도 일단 미뤄 둔다.
차분한 상태로 대응하는 게 언제나 더 이롭다.

7. 화를 내는 게 어떤 효용이 있는지 생각한다
대부분의 경우 분노의 표출은 인간관계와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다.
화내봤자 얻는 게 없다고 생각되면 즉각 단념한다.

8. 제삼자에게 화풀이하지 않는다
화가 났을 때는 괜히 타인에게 화풀이함으로써 갈등을 2배로 키우기 쉽다.
‘난 화가 났으니까 이래도 된다’고 생각하는 순간 외톨이가 된다.

9. 좋았던 기억을 떠올린다
어떤 사람에게 화가 났을 때 그 사람과 즐거웠던 추억을 떠올리고 그 기억에 몰두함으로써
나쁜 기억을 몰아내려고 노력한다.

10. 남의 일처럼 생각한다
내가 주인공인 드라마를 보는 기분으로 한 발 떨어져 생각하면 비극적인 상황도
낭만적이거나 코믹하게 느껴진다.

728x90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