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담배5

금연의 좋은 점과 금연방법 믿을만한 의학정보 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금연하면 좋은 점 ‘세계적으로 사망자 6명 중 1명은 담배 때문에 죽는다.’(Tobacco Control, 1994) ‘현재 흡연하는 남성의 52%와 흡연 여성의 43%가 담배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한다.’ ‘매년 400만 명이 담배 때문에 사망하며, 2020년에는 1천만 명이 사망할 것이다. 앞으로 20년 동안 1억 명이 담배 때문에 사망할 것이다.’ (Richard Peto, 1997), ‘담배 때문에 사망하는 사람의 수는 사람을 가득 실은 점보제트기 4대가 매일 추락하여 모두 사망하는 것과 맞먹는다.’ ‘담배가 질병을 일으킨다는 60,000편 이상의 의학 논문이 발표되어있으며, 흡연은 의학 연구 역사상 가장 잘 알려진 질병의 원인이다.’(Antonia Novel.. 2022. 10. 6.
담배 유해성분의 종류 믿을만한 의학정보 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담배의 화학물질과 발암물질 담배연기 속에는 약 4000 여종의 화학물질이 들어 있다. 이 중에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발암물질이 있는데, 이미 알려진 발암물질만도 43가지에 이른다. 특히 타르(Tar), 니코틴 그리고 일산화탄소는 매우 해로운 성분이다. 유해성분의 종류 강력한 발암물질 타르(Tar) 타르는 일반적으로 담 배진이라고 부르는 독한 물질로 담배의 독특한 맛은 바로 이 타르에서 나오는 것이다. 타르 속에는 약 43종의 발암물질(암을 일으키는 물질)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독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타르는 적은 양으로도 동물이나 곤충을 죽일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는 담배꽁초를 모아 두었다가 화장실에 넣어 구더기가 생기는 것을 막는 데 사용하였고 산에서는 뱀을 퇴.. 2022. 10. 6.
간접흡연의로 인한 건강피해 믿을만한 의학정보 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간접흡연이란? 간접흡연(indirect smoking)이란 자의적으로 담배를 직접흡연(direct smoking)하는 행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흡연을 하지 않거나 원치 않는 사람이 타인의 흡연으로 인해 타의적으로 담배 연기를 흡입하게 되는 것을 뜻하며, 흡연자의 능동 흡연(active smoking) 행위와 구별하여 수동 흡연(passive smoking)이라고도 불리어진다. 최근 흡연이 중요한 환경오염 원임이 인정되어 환경 흡연(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이란 용어가 권장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국민건강 증진법에 의해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규제를 받기에 이르렀다. 간접흡연은 직접 흡연보다 안전한가? 흡연 시 발생하는 담배연기는 어디.. 2022. 10. 6.
뇌졸중의 종류 발생 원인과 증상 및 재활치료 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내용이 상당히 방대합니다. 긴 호흡으로 공부하는 기분으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뇌졸중 이란? 1. 들어가면서 인간이 말하고 보고 듣고 느끼고 기억하고 생각하고 판단하며, 몸을 원활히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뇌기능이 정상일 때 가능하다. 뇌는 우리 몸무게의 약 2% 정도에 불과하나 심장으로부터 분출되는 혈액량의 약 ⅕을 공급받으며 하루 종일 산소와 영양분을 소모하면서 일하는 활력 장기이다. 뇌졸중이란 뇌혈관의 이상으로 뇌조직이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여 언급한 뇌기능에 마비가 갑자기 나타나서 사망하거나 신체 및 정신 장애를 남기는 무서운 병이다. 인간이 건강하게 살다가 갑자기 죽을 수 있다는 것은 큰 축복 중의 하나이다. 요즈음 9988234란 말이 항간에 떠돈다. 99세까지 팔팔하게 .. 2022. 10. 5.
고혈압으로 인한 인체의 영향과 치료방법 믿을만한 의학정보 출처 시골의사 블로그 고혈압 예방과 관리에서의 생활요법 고혈압이 주는 인체의 영향 고혈압은 허혈성 심장병, 뇌혈관질환, 신부전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으로 이러한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고혈압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우리나라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고혈압의 인지율 및 치료 경험률은 많이 향상되었으나 치료 순응도는 상당히 낮은 실정이며 치료를 받고 있더라도 적절한 혈압 관리를 하고 있는 비율은 더 낮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어 적절한 고혈압 관리를 위해서는 더 많은 의료계의 노력과 사회적 관심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일차성 고혈압(본태성 고혈압)의 원인은 .. 2022. 10. 5.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