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의사 블로그 퍼옴
항상 최선을 다하는 자세

성공을 꿈 꾼다면 목숨을 걸고 미친듯이 꾸준히 해야한다.
포정해우(庖丁解牛)라는 고사가 있다.
이것은 장자(莊子) 양생 주편(養生主篇)에 나오는 고사로서. 포정이라는 백정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는데. 그가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문혜 군은 그 모습을 보고 감탄하여 "어찌하면 기술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라고 물었다.
이에 포정이 말하기를 "제가 반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손끝의 재주 따위보다야 우월합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으나, 3년이 지나자 어느새 소의 온 모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는 정신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러운 작용만 남습니다. 그러면 천리(天理)를 따라 쇠가죽과 고기, 살과 뼈 사이의 커다란 틈새와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 소의 몸이 생긴 그대로 따라갑니다.
그 기술의 미묘함은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를 다친 적이 없습니다.
솜씨 좋은 소 잡이가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보통 소 잡이는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저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 없는 것을 틈새에 넣으니, 널찍하여 칼날을 움직이는 데도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19년이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뼈가 엉긴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그 일의 어려움을 알고 두려워하여 경계하며 천천히 손을 움직여서 칼의 움직임을 아주 미묘하게 합니다.
살이 뼈에서 털썩하고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든 채 일어나서 둘레를 살펴보며 머뭇거리다가 흐뭇해져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문혜 군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의 도를 터득했다며 감탄했다.
이것은 우리들에게 많은 암시를 주고 있다.
지금은 경박단소의 시대이다.
또 재주가 많으면서도 그에 따르는 원리가 없는 재승 박덕(才勝薄德)이 득세하고, 통찰보다는 세기가 (細技)가 주도하는 세상이다.
그러나 그것은 겉으로 드러나는 일면 일 뿐이다. 한 인간이 가능성을 살펴볼 때 필자처럼 여러 가지 잔재주는 많아 보이지만 결국에는 한 가지도 잘 매듭을 짓지 못하는 사람과, 우직하지만 한 가지에 끝까지 매달려서 결국 그 이치에 도달하는 사람이 있다면 성공은 당연히 후자의 몫이다.
때로는 전자의 인간형이 쉽게 성공하는 듯하고 먼저 앞서 나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람의 밑천이 드러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젊은 시절 타고난 재주를 앞세워 교만하게 되지만, 직장에서건 사회에서건 결국 자신의 본류에서 깊이를 갖지 못한 사람이 도달할 길은 언제나 처음 출발점에서 몇 미터 일 뿐이다.
마라톤에서 누구나 제일 앞 줄에 설 수 있다. 또 누구든 처음 1 킬로는 쉽게 일등을 할 수 있지만, 그것이 2 킬로 10 킬로가 지나면서 점점 한계가 드러나게 돼 듯, 일에 미쳐 코피가 터지고, 공부에 미쳐 눈에서 핏물이 떨어질 정도로 자신을 담금질해보지 못한 사람이 성공을 꿈꾸는 것은 100 미터도 달릴 수 없는 사람이 마라톤 대열에서 제일 먼저 전력질주를 하는 것과 같다.
성공을 꿈꾸려면 목숨을 걸어라
그리고 백척간두에 서서 마지막 한 발을 내 디디는 심정으로 피를 토하고 뼈를 깎아라
그래서 당신이 쥔 칼날이 두께 없는 두께가 되어 틈새 없는 틈새를 공략하는 포정의 경지에 이르러라, 그러고서도 실패했다면 그제야 당신은 운을 탓하거나 운명을 원망할 수 있다.
운명에 대한 원망도 그것을 할 수 있는 경지가 따로 있는 것이다.
'부자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심하고 또 의심해라 부자는 깨우침에 있지 않고 깨침에 있는 것이다. 짱 부자 경제학 (2) | 2022.10.12 |
---|---|
부자가 되고 싶다면 통찰력을 키워라 짱 부자 경제학 (2) | 2022.10.12 |
성공을 꿈 꾼다면 원칙을 지켜라 (2) | 2022.10.12 |
부자가 되고 싶다면 도전하는 사람이 되라 (3) | 2022.10.12 |
성공을 위해 살아남으려면 변하라 (3)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