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 경제학

책> 부의 확장 돈을 벌어본 사람만이 아는 1가지

by 호이짜호이호 2022. 11. 23.
300x250
반응형
부의 확장

부의 확장


부자가 되려면 내가 틀렸다고
냉철하게 인정해야 할 1가지

"냉철하게 현실을 직시할 때
비로소 내 인생은 뜨거워진다."

진정한 정의가 실현되는 곳에
사랑이 넘치고 사랑이 많은 곳에는
옳고 그름을 가리는 정의가 살아있다.


책 내용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첫 번째 틀린 말
"돈이 돈을 번다는 말"
너무나 익숙한 말이지만 저자는 잘못된 말이라고 한다.
"돈이 많다고 유리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다"
확실히 돈이 많은 사람은
돈이 없는 사람보다 돈을 좀 더 쉽고 빠르게 번다.

하지만 분명히 알아두어야 할 건
"많은 돈이 또 다른 많은 돈"을 끌어당기는 것이 아니라
"많은 돈을 가진 사람이 또 다른 많은 돈을 끌어당긴다는 사실이다."
차이가 무엇이냐면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돈을 벌어본 사람 만이 아는 1가지


결국은 가장 중요한 건 사람 = 인사가 만사

어떤 사람인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돈 자체가 아니라 돈을 가진 사람

특히 자신의 능력으로 돈을 번 사람들은
더 빨리 그리고 더 쉽게 돈을 벌 뿐만 아니라
돈을 끌어당기는 능력이 남다른 다는 것이다.

부자는 돈을 버는 과정을 통해
돈이 어떠한 형태로 불어나는 지를
깨달았기 때문인 것이다.

그 깨달음을 아직 얻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그저 돈이 돈을 버는 것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한때 10억 원을 벌어본 사람 그리고 당신

10억 원이 있었는데 한순간에 망해서
자산이 100만 원으로 줄어듭니다.

그리고 당신 또한 현재 자산 100만 원을 가지고
있다고 해보자.

10억 원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면,
누가 먼저 목표치에 도달할까?

그동안 많은 부자들을 봐오고 분석해 본 결과

당연히 한때 10억 원을 벌어본 사람일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 사람은 부를 만드는 과정에서 부란 무엇인지
돈은 어떻게 버는가에 관한 깨달음을 얻었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 공부도 많이 하고 많은 사람을 만나보면서
무의식적으로 몸에 익힌 것이다.

이런 형식지와 암묵지로 인해서

현재 그가 가진 자산은 비록 100만 원이지만
그는 10억 원으로 도달하는 가장 빠른 길에
오를 티켓을 이미 쥐고 있는 셈 인 것이다.

예를 들어서
유튜브 채널 키우기와 비슷하다

50만 명 구독자와 50명 구독자가 있다고 하자.

근데 50만 명을 보유하고 있던 채널이 망해서
구독자가 많이 줄었다고 가정을 해보자

예를 들어 50만 명을 보유하고 있던 채널이 50명으로 줄었다고 하자

똑같이 50명 구독자가 되었다고 생각을 해 봤을 때

과연 누가 더 빨리 10만 구독자를 늘릴 수 있을까?

어떤 콘텐츠가 반응이 좋았는지,
어떤 부분이 사람들을 움직였는지
많은 구독자들이 관심을 안 가졌더라도
어떻게 심리적으로 견뎌낼 것인지
50만 명을 보유했던 사람이 더 유리할 것이다.

이미 경험한 사람은 내공이 있고 멘털이 탄력이 되었을 것이고
어떻게 심리적으로 버텨내야 할지 알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돈을 실제로 벌어 본 경험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로또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부를 축적해 본 경험 그런
과정과 결과를 가져본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전 재산 1억 원을 들고 경마장을 찾아
하루에 500%의 수익을 내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렇게 해서 지금 당장은 부자가 될 수가 있지만
먼 미래를 본다면 절대 밝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노력 없이 한순간에 쉽게 돈을
벌었던 사람은 신기루처럼 그 돈은 사라질 것이다.
오히려 앞으로 더 많이 잃을 것만 남게 될 것이다.
왜냐면 그 돈을 버는 데 있어서 노력과 과정이 없었기에
깨달음이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더 비참한 인생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매년 10%씩 자산을 불려 간다고 봤을 때
누적이 되면서 노력과 경험과 과정을 통해서
발전이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저자가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성공 방정식인 것이다.

이런 것이 없다면 당신의 자산 증식 속도는
결코 그를 이길 수 없는 것이다.

여기서 아주 중요한 통찰력이 있다.

돈이 돈을 번다 이 말을 일반인들이
별 의심 없이 철석같이 받아들이는 이유가 있다.

왜냐하면 그 말이 곧 면죄부가 되기 때문이다.

무엇에 관한 면죄부인가?

부를 얻지 못한 게, 부자가 되지 못한 것에 있어
나의 탓이 아니라는 것
누구탓? 돈 탓 = 돈이 없다는 것 스스로 핑계와 합리화하며
내가 돈이 없기 때문이라고 돈 탓 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사람들은 구체적으로 이런 말을 하게 되는 것이다.

"어차피 세상은 가진 자들이 더 가질 뿐이야"
"내가 돈이 없는 건 나의 잘못만은 아니야"
"나의 게으름은 나의 귀찮음은 나의 탓만은 아니야"
"나는 돈이 없기 때문에 부를 이룰 수 없었던 거야"
라고 스스로를 위로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너의 탓인 거다
네가 게으르고 귀찮아하고 다른 핑계와 스스로
합리화를 해서 그런 것이므로 결국은 너의 탓인 것이다.

니체가 이런 말을 했다.
"천재를 노력이 아닌 재능으로 인해 되었다고 여기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면서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

"누군가를 신적인 존재로 부르면 우리는 그와
경쟁할 필요가 없게 된다."

"아무도 예술가의 작품 속에서 그것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보지 못한다."
"그 편이 나은 점도 있다.
작품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보게 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반응이 주눅 들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예술가의 천재성이 재능 때문이야 라고
생각을 해버리면 마음은 편한 것이다.
나는 재능이 없어서 나는 그것을 하지 못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 예술 작품을 내기 위해서 얼마나 많이 노력하고
시간을 보내왔는지는 생각을 못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가능성의 시대라고 말합니다.
돈이 없어서 부를 이룰 수 없다고 말하기에는
지금 도처에 가능성이 널려있다

지금 현재가 단군이래 가장 돈 벌기 좋은 시대라는 말이 있다

여기서 한 가지만 더 말하자면

부의 공식을 소개한다.

부는 = 나의 자산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사람이 문제 있은 것이고 나 자신이 문제 있는 것이다.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자산이 없다고
실망하지 말고 지치지 말고 무너지지 말고
지금의 나를 다시 한번 돌아보고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
돈에 대한 공부, 노하우, 네트워크, 경험, 노력
결코 돈이 돈을 버는 게 아니다
그것은 절반도 되지 않는 것이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부를 만드는 과정을 경험해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앞으로 내가 어떤 사람이 되기 위해
지금 무엇을 하고 계획하고 있는지
자신 스스로가 뒤돌아 보아야 할 것이다.

  
성공이라고 생각하면 성과가 되고
실패라고 생각하면 아픔이 된다.
결국 마음 가짐이 중요하다.








728x90
300x250

댓글